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콜라츠 추측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3RWz1%2FbtsFoaaGftf%2FAAAAAAAAAAAAAAAAAAAAABJQln0QPkdD-5YQP9UCNzdrrN_IGYmngEtPKTr4HO_Q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c%252BhbMQaKjs2MUorri5c4H6ZMgJU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여기서 원하는 답은 결국 콜라츠 추측 공식은 결국 마지막엔 1이 돼야 합니다. 그리고 1이 되기까지의 과정의 횟수가 얼마인지를 답을 내야 하는데, 저는 while문을 통해 우선 무한 반복을 시키고 그 안 에서 조건문과 break를 활용하여 answer를 return 시켜 주는 생각을 했습니다. 여기서 주의할 점은 num이 1이라면 0을, 이 작업이 500번 반복할 때까지 1이 되지 않는 다면 -1을 반환해야 합니다.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..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두 정수 사이의 합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noAzq%2FbtsFofCEUiA%2FAAAAAAAAAAAAAAAAAAAAALiZ6RKg-PExk2D85qbDlN_1pbzidq_AvMunPMfYB7Kc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Ct16HFnQliCty9eRtb2zz%252FcGvGg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a와 b는 -1000만 ~ + 1000만이라서 Int형으로 값을 받지만 반환할 땐 그 이상의 숫자가 될 수 있어 Long형으로 반환한다는 걸 짚고 넘어가요!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a: Int, b: Int): Long { var sum: Long = 0 if (a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하샤드 수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6BPXU%2FbtsFfWKl5T6%2FAAAAAAAAAAAAAAAAAAAAAPK570JQ9CQy_psyhAczW_6RhbhSBogw9J0QpjQ88Z8b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uUqlyMIHyypN%252Bdq3q4qu%252FvEQVbU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하샤드 수란 주어진 진법에서 그 수의 각 자릿수 숫자의 합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자연수를 말한다. 그렇다면 우선 각 자릿수의 나머지를 구해서 그 자릿수끼리 더한 후 원래 주어진 값을 자릿수끼리 더한 값을 나누어서 떨어 지는 값을 구하면 된다!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x: Int): Boolean { var sum = 0 var temp = x while(temp != 0){ sum += temp % 10 // su..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pt6xt%2FbtsFeDDGIO9%2FAAAAAAAAAAAAAAAAAAAAAGFjKO62CundSIIUvpei8JKmKUX49nTFLz7bZAk0b2gk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pJqHDRsy18e4oNjCr%252BDipU7PQbQ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정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sortedArrayDescending()라는 함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할 수 있다! 이 함수는 배열에서 적용된다는 것을 기억하자!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: Long): Long = String(n.toString().toCharArray().sortedArrayDescending()).toLong() } 우선 내림차순 함수인 sortedArrayDescen..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정수 제곱근 판별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5ug1r%2FbtsFbWKmJq3%2FAAAAAAAAAAAAAAAAAAAAANXDcy_59qkzVHvVVzmkZGN4dzLBHY3a1DjLy-f1fJaX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36FbozBJh%252BKRG3eQYG5LgJwzaMc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Int형의 범위를 확인하자! 제곱근을 구하는 함수 sqrt를 잘 활용해 보자! sqrt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math를 꼭 import 하는 걸 잊지 말자! 🔍 코드 및 풀이 import kotlin.math.*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: Long): Long { var answer: Long = 0 var sqrtNum = sqrt(n.toDouble()).toLong() return if(sqrtNum * sqrtNum == ..
![[코틀린/변수] var과 val의 차이를 알아보자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DVWCy%2FbtsEZoV08Zg%2FAAAAAAAAAAAAAAAAAAAAAPuIlJZOo4q_FOSwVb8gMQDiNEEmUYt-R1qSI4SGagZx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C1bZD5KTzy3rKlug%252B8YT0QoQ6bc%253D)
변수란? 변수 (Variable)란 수학적으로 가변적인, 변할 수 있는 숫자를 뜻한다.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 뜻하는 변수는 "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"을 뜻한다. var과 val의 차이점 var: 가변(Mutable) 변수로, 값의 읽기와 쓰기가 모두 허용되는 변수이다. 또한 변수(Variable)의 약자이다. val: 불변(Immutable) 변수로, 값의 읽기만 허용되는 변수이다. 또한 값(Value)의 약자이다. var (Variable)에 값을 할당 한다면 // var ( Variable ) fun main() { var num = 20 // num 이라는 변수에 20을 할당 해준다. println(num) // 20이 출력이된다. num = 30 // num 이라는 변수에 다시 30을 할당 해..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VGuFD%2FbtsE42jzDYU%2FAAAAAAAAAAAAAAAAAAAAAEK1hvEpapOhrrJV9O81hnQ1rNQ93Ajpo55xazQIt0qi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Lhwu%252Fu%252BZXsy7qmA2kr%252FHjA2D9dU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코틀린에는 문자열을 뒤집어 주는 함수가 있다. 참고하자!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: Long): IntArray = n.toString().reversed().map { it.toString().toInt() }.toIntArray() } 저는 코틀린 함수중 문자열을 뒤집어주는 reversed함수를 사용하였습니다. 우선 Long으로 받은 자연수 n을 문자열로 바꾸어준 뒤 reversed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..
![[프로그래머스/Kotlin]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LQOYN%2FbtsEV9JsyCz%2FAAAAAAAAAAAAAAAAAAAAAM38tA4wqsgZCoGxFrjFHXgHwdrOZKpl9XrxYShAsXQt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mYMMR97AioqFvD%252FZmAvePX7iKB4%253D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📑 문제 [ 더 보기 클릭! ] 더보기 🌱아이디어 제한 조건을 확인해 준다! 과연 x와 n을 곱하게 되면 Int 범위를 넘어가게 될까? 결국 x와 n을 곱한 범위만큼 배열을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에 잘 따져보자! 🔍 코드 및 풀이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x: Int, n: Int): LongArray { var num = x.toLong() var answer = LongArray(n) for(i in 0 .. answer.size-1){ answer[i]= num * (i + ..